방송 프로그램의 매커니즘을 이해하고
방송 구상부터 프로그램 완성까지 책임지는 구성작가 양성과정
구성작가는 교양, 다큐멘터리, 라디오, 예능 등
다양한 프로그램에서 기획과 아이템 발굴의 최전선에 서는 사람입니다.
대본과 출연진을 재료로 해 좋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냅니다.
Learn
구성작가는 드라마를 제외한 방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,
그 기획을 구체화하는 구성을 담당하며 최종적으로 방송 대본을 쓰는 사람을 말합니다.
Provide
훌륭한 구성작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
탁월한 기획력, 담당 프로그램의 정확한 이해, 글 쓰는 능력을 배울 수 있으며
프로그램 제작에 필요한 전반적인 사항과 작가로서의 자질까지 교육합니다.
입문교육
구성작가의
역할과 방송현실
기초교육
원고 작성법 및
아이템 발굴 전략 학습
심화·응용 교육
장르별 정의와 핵심 제작
포인트 학습(다큐, 예능, 라디오 등)
장르별 구성안 실습 및
원고 작성
작품평가 및 모니터링
포트폴리오 작성법, 취업 노하우
01
현직 구성작가로 구성된 강사진!
현업에 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장르별 현직 구성작가로 이루어진 강사진 직접 교육, 단순한 이론 이외에도 실무에서만 배울 수 있는 맞춤형 교육 제공
02
철저한 작품 실습과 장르별 핵심 노하우 제공
교양, 다큐멘터리, 라디오, 예능 프로그램의 기획과 아이템 발굴에 대한 실무지식을 배우며 촬영 구성안, 편집 구성안부터 대본작성까지 방송 프로그램 제작의 전 과정을 단계별로 학습하며 장르별 핵심 노하우 제공
구성작가 활동영역 :
#방송사 구성작가 #케이블 방송사 구성작가
#이벤트 기획사 구성작가 #각 매체의 작가 #진행 스탭
권현정
정성희
김은정
임선길
박경희
신민정
이소연
장주연
과정 | 구분 | 교육과정 |
---|---|---|
강좌명
정규
강의기간
3개월
교육시간
월화목금(오전)/10시 ~ 13시
교육시간
토(주말)/10시 ~ 18시
모집정원
시간대별 20명
|
종합 | [오리엔테이션] 구성작가의 역할과 방송현실 |
장르별 분류 / 교양 프로그램의 제작 핵심 포인트 | ||
영상구성의 중요성과 3대 구성 제작 비법 | ||
각 조별 영상구성 제작 실습 | ||
작품평가 / 모니터 작성법 / 모니터 실습 | ||
포트폴리오 세부 작성법 | ||
다큐멘터리 | 다큐멘터리 정의와 종류 | |
다큐멘터리 기획과 기획안 작성 | ||
다큐멘터리 아이템 발굴 전략 | ||
해외 다큐멘터리 동향과 국내 다큐 영화 현황 | ||
다큐멘터리 구성법 - 1 | ||
다큐멘터리 구성법 - 2 | ||
새로운 시대의 다큐멘터리 - 융합과 변화 | ||
구성안 실습 | ||
다큐멘터리 원고 작성법 | ||
구성안과 원고에 대한 총평 | ||
예능 | 예능 프로그램 총론 | |
예능 프로그램 기획법 / 기획안 작성법 | ||
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분석 | ||
내레이션 작성 및 촬영 대본 쓰기 | ||
뮤직쇼, 오디션, 토크쇼 등 프로그램 기획 | ||
인터뷰의 기술 / 섭외의 노하우 / 홍보글 실습 | ||
스토리텔링의 기초 / 영상구성 실습 | ||
시트콤, 개그코너, 꽁트 기획 | ||
영상언어의 이해, 자막쓰기 실습 | ||
예능 프로그램 프리젠테이션 하기 | ||
예능 구성안 총 평가 | ||
라디오 | 라디오 프로그램 개요 및 모니터링 | |
방송원고의 특징과 방송글 쓰기 | ||
라디오 원고쓰기 | ||
라디오 원고쓰기(오프닝, 브릿지) | ||
라디오 원고쓰기(사연 리라이팅) | ||
라디오 원고쓰기(꽁트) | ||
라디오 원고쓰기(인터뷰, 공개방송) | ||
코너 기획 및 아이템 잡기 | ||
프로그램 기획안 및 큐시트 쓰기 | ||
구성안과 원고에 대한 총평 | ||
TV 종합 | TV종합구성 기획의도와 제작과정 | |
프로그램별 아이템 발굴 전략 | ||
FACT 취재 및 모니터링 | ||
프로그램별 섭외 노하우 분석 | ||
TV종합구성의 ‘구성’ 에 대한 이해 | ||
스토리 구성 VS 그림 구성 | ||
실전 문서작성법1(예고*보도자료 등) | ||
실전 문서작성법2(더빙원고 연습) | ||
예고와 더빙원고에 대한 총평 | ||
이력서 / 자기소개서 / 면접요령 |